본문 바로가기

주식분석(재무제표 분석)/국내주식

주식 감자? 유상감자 무상감자 총 정리!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도 주린이들을 위해 누구보다 간단하게 용어를 정리하고 설명해드립니다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감자란 무엇인가?

간단하게 기업이 자본금을 줄이기 위해서 주식의 수를 줄이는 것감자라고 합니다.

반대로는 기업이 자본금을 늘리기 위해서 주식의 수를 늘리는 것을 증자라고 합니다.

 

감자를 도대체 왜 하는가?

여러 가지 이유가 있는데요 대표적인 이유로는 상장폐지를 막기 위해서,

기업의 실제 가치와 회계상 가치를 동일하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먼저 상장폐지를 막기 위해서 감자를 하는 경우에 대해서 자세하게 말씀드리면

자본잠식률을 줄이기 위해서입니다.

 

회사가 지속적으로 적자를 보게 되면 잉여금이 마이너스가 되게 됩니다.

이런 경우 자본총계가 자본납임금보다 적어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를 자본 잠식이라고 하는데요

예를 들어 자본금이 10억이고 자기자본이 5억이라면 자본잠식률은 50%가 됩니다

보통 자본잠식률이 50% 이상이면 경고를 받게 되고 100%가 되면 상장 폐지를 하게 되는데요

이때 상장폐지를 피하기 위해 자본금을 줄여서 자본잠식률을 낮출 때 주로 감자를 합니다.

 

추가적으로 감자를 하는 이유는 투자를 받기 위해서입니다.

회사가치가 장부가치와 다르다면 투자자들의 투자를 받기가 쉽지 않겠죠?

이럴 경우 감자를 통해서 자본금을 자본총계와 맞추어 투자를 유치하기도 합니다

 

자! 그럼 감자의 종류는 무엇이 있을까요?

유상감자 무상감자가 있습니다

 

먼저 유상감자는 무엇인가?

간단하게 유상!

즉 주식을 보유한 주주들에게 대가를 지불하고 주식의 수를 줄여서 자본금을 낮추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무상감자란!

주주들에게 아무 대가도 지불하지 않고 주식의 수를 줄여서 자본금을 낮추는 것이죠

 

마지막으로 감자를 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는 주식병합을 통해서 감자를 하게 됩니다

예를 들면 발행 주식수가 2만 주이면 이를 50%로 감자 하는 경우 발행 주식 수가 1만 주가 됩니다.

즉 2주를 가지고 있던 사람들은 1주를 보유하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 그럼 마지막으로 이것이 호재인가 악재인가?

무조건 호재고 무조건 악재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여기서부터는 Case by Case 즉 상황에 따라서 다르다는 점

누구는 무상감자는 무조건 악재라고 하고 유상감자는 호재라고도 하지만

판단은 주식을 보유하신 분들의 몫이라는 점 반드시 알고 가셔야 합니다

 

즉 내가 보유한 회사는 감자를 왜 했는지 또는 왜 하려고 하는지를 고민해보시고

투자를 하셔야 좋은 투자 생활을 할 수 있겠죠?

 

오늘은 여기까지 주식시장에 뜨거운 감자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다음에 더 좋은 글로 찾아뵙겠습니다^^

 

반응형